내 블로그의 방문자 경향을 확인하기
2008. 10. 5. 21:45 |
에세이
구글 서비스 중에 어낼리틱스라는 것이 있다.
내 사이트 방문자들의 이모저모를 통계내주는 서비스이다.
어낼리틱스에 가입한 후에, 스크립트를 받아서 자기 웹페이지에 넣어두면 되는데,
구글 어낼리틱스는 한글도 서비스되므로 특별히 설명하지 않아도, 잘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후... 사실은 귀찮다.)
하지만 다음 어낼리틱스에서 제공해주는 기능을 보면, 아마도 꼭 등록하고 싶어질 것이다.

등록한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정보가 별로 없지만 어떤 것들을 통계해 주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캡쳐해봤다.
역시 우리나라에서는 서울에서 가장 많이 온다. 분당은 이상하리만치 방문자가 많은데 내 팬이 있는게 분명하다. 훗.

외국에서도 찾아오긴 하는가 보다. 물론 영어 포스팅이 없기 때문에 이 자식들은 반송률을 높이는 주범이다.



물론 이것은 애널리틱스 기능의 일부분이고 다른 것들이 더 많이 있다.
개인 블로그야 재미삼아 달아보는 것이지만, 회사 웹사이트에서는 마케팅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 사용된다.
재밌지 않습니까?
한번씩들 달아보세요.^^
내 사이트 방문자들의 이모저모를 통계내주는 서비스이다.
어낼리틱스에 가입한 후에, 스크립트를 받아서 자기 웹페이지에 넣어두면 되는데,
구글 어낼리틱스는 한글도 서비스되므로 특별히 설명하지 않아도, 잘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후... 사실은 귀찮다.)
하지만 다음 어낼리틱스에서 제공해주는 기능을 보면, 아마도 꼭 등록하고 싶어질 것이다.
등록한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정보가 별로 없지만 어떤 것들을 통계해 주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캡쳐해봤다.
외국에서도 찾아오긴 하는가 보다. 물론 영어 포스팅이 없기 때문에 이 자식들은 반송률을 높이는 주범이다.
물론 이것은 애널리틱스 기능의 일부분이고 다른 것들이 더 많이 있다.
개인 블로그야 재미삼아 달아보는 것이지만, 회사 웹사이트에서는 마케팅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 사용된다.
재밌지 않습니까?
한번씩들 달아보세요.^^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핑서비스 (1) | 2008.11.02 |
---|---|
우분투 리눅스와 윈도우즈 비스타 그리고 오픈소스 (4) | 2008.10.21 |
내 블로그의 방문자 경향을 확인하기 (8) | 2008.10.05 |
집에 오는 길. (7) | 2008.05.10 |
구충남대 서버에서 가졌던 스타크래프트의 추억 (32) | 2008.05.06 |
화성행궁의 장용영 수위의식 (5) | 2008.04.19 |
저는 구글 애널리틱스보다는 다음 인사이드가 더 좋더군요 ^^
Reply어떻게 넣는 거냥??
Reply전 검색으로 들어왔는데요.
Reply어제 바루 해봤네요... ^^
전 텍스트큐브쓰는데 적용된 스킨의 바디테그에다가 스크립트를 넣었습니다... ^^
어제 저녁에 설정할때는 구글페이지에서 확인해보니깐 안된다고 느낌표 아이콘이 떳는데....
흠.... 아침에 보니깐 정상으롤 바껴있네요...
카운터 달려고 했는데... 덕분에 재밋는거 했습니다.
저는 가젯 이용률을 추적하려고 google analytics를 사용하는데요, 가젯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다른 방법들을 써야하더라구요.. 아직 공부중이지만..정말이지 매력적인 기능이 아닐 수 없습니다..^^ 잘보고 갑니다.
Reply가서 만들어봤는데 스킨 </body>앞에 붙여넣기 했는데 뭐가 달라졌는지 모르겠군요. 그대로 인거 같은데 단지 속도가 갑자기 느려진 감이 있군요. 스킨수정에서 넣는게 맞습니까?
Reply저는 사이드바에 사용자 위젯 하나 만들어서 거기에 코드 집어넣었어요.
근데 굳이 위젯을 달 필요가 없더군요. 저는 그 분석나오는 페이지의 주소를 복사해 공지사항 글에 붙여넣고 링크시켰습니다.물론 비공개로요. 분석이 쓸모있을만큼 방문객이 없을거 같군요. ㅜㅜ
쿠쿠 그냥 재미로 하는거죠 뭐^^